-
HTML Doctype이란? 🚀 웹페이지의 시작을 여는 필수 요소!Developer 2025. 2. 19. 09:25728x90
1. HTML Doctype이란?
Doctype(문서 유형 선언, Document Type Declaration)은 HTML 문서의 맨 처음에 위치하며, 브라우저가 해당 HTML 문서를 어떻게 해석할지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.
✅ 간단히 말해?
- Doctype은 브라우저에게 문서의 HTML 버전을 알려주는 선언문입니다.
- HTML을 올바르게 렌더링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.
2. HTML Doctype 선언 방법
HTML 문서를 작성할 때 가장 위에 아래와 같이 Doctype을 선언해야 합니다.
<!DOCTYPE html> <html lang="ko"> <head> <meta charset="UTF-8"> <title>HTML Doctype 예제</title> </head> <body> <h1>이것이 HTML5 Doctype!</h1> </body> </html>
✅ <!DOCTYPE html>은 HTML5 문서를 의미하며, 최신 표준을 따르겠다는 선언입니다.
3. HTML Doctype의 역할
✅ 1) 표준 모드(Standards Mode)와 호환 모드(Quirks Mode) 결정
- 브라우저는 Doctype을 기반으로 표준 모드 또는 호환 모드로 HTML을 렌더링합니다.
- Doctype이 선언되지 않으면, 브라우저가 호환 모드로 동작하여 예전 방식으로 렌더링할 수 있음.
모드 설명 표준 모드(Standards Mode) 최신 HTML/CSS 표준을 따르는 렌더링 방식 호환 모드(Quirks Mode) 오래된 브라우저 스타일을 유지하는 방식 ✅ 최신 웹 개발에서는 반드시 Doctype을 선언하여 표준 모드를 유지해야 합니다.
4. 다양한 Doctype 선언 비교
📌 HTML4.01 Doctype (구버전)
http://www.w3.org/TR/html4/strict.dtd">
📌 HTML4에서는 DTD(문서 유형 정의, Document Type Definition)를 포함해야 했음.
📌 XHTML 1.0 Doctype (구버전)
http://www.w3.org/TR/xhtml1/DTD/xhtml1-strict.dtd">
📌 XHTML은 XML 기반 HTML 문법을 사용하지만,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.
📌 HTML5 Doctype (최신)
<!DOCTYPE html>
📌 HTML5에서는 단순하게 <!DOCTYPE html>만 선언하면 됨! 🚀
✅ 최신 웹사이트에서는 HTML5 Doctype을 사용해야 함!
5. Doctype을 선언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? 😱
만약 Doctype을 선언하지 않으면 브라우저가 호환 모드(Quirks Mode)로 동작하여 웹사이트가 예상과 다르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.
📌 Doctype 미선언 예제
<html> <head> <title>Doctype 없이 렌더링</title> </head> <body> <h1>이 페이지는 호환 모드로 렌더링됩니다!</h1> </body> </html>
✅ 일부 CSS 속성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거나, 레이아웃이 깨질 수 있음.
그러므로 항상 Doctype을 선언하는 것이 필수!
6. 결론 🎯
✅ Doctype은 브라우저가 HTML을 올바르게 해석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.
✅ HTML5에서는 <!DOCTYPE html>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선언 가능합니다.
✅ Doctype이 없으면 브라우저가 호환 모드로 동작하여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.👉 이제 HTML 문서를 작성할 때 항상 <!DOCTYPE html>을 잊지 말고 선언하세요! 🚀
728x90'Develop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seRef 언제 사용해야 할까? 🚀 리액트 개발자의 필수 훅 완벽 정리! (0) 2025.02.21 테스트 주도 개발(TDD)이란? 🚀 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방법! (2) 2025.02.20 CDN이란? 🚀 웹 속도를 극대화하는 비밀 병기! (1) 2025.02.17 event.target vs event.currentTarget 차이점 완벽 정리 🚀 헷갈리는 개념 한 방에 해결! (2) 2025.02.14 URI, URL, URN의 차이점 완벽 정리 🚀 개념부터 실전 활용까지! (0) 2025.02.13